재개발 사업을 앞두고 우리 동네의 풍수지리학적 가치가 궁금한 조합원들을 위해 풍수지리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칠현산에서 비롯된 용맥이 광교산과 관악산, 와우산을 거쳐 최종 안주하며 정기를 품은 터에 자리하고, 한강의 지류인 샛강과 세 개의 공원이 맞닿아 생기를 불어넣으며 교육과 교통 여건까지 두루 갖춘 풍수 명당지로 주목받는 ‘신길1구역’을 주제로 <생활 속의 풍수, 그 진리를 탐구하다>의 저자이자 마산 박물관 대학에서 강의 중인 풍수지리학자 주재민 소장님께 그 가치에 관해 물어보았습니다.
신길1구역의 풍수적 입지조건
한반도의 중심 뼈대를 이룬 백두대간은 속리산에서 한남금북정맥을 탄생시켰고, 한남금북정맥은 안성의 칠현산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나뉘어서 갈라집니다. 칠현산에서 뻗어 내려가 좌우로 요동(搖動)치고 상하로 기복(起伏)을 하면서 힘차게 나아간 용맥(龍脈·정기가 흐르는 산줄기)은 광교산에서 솟은 후, 다시 나아가다가 관악산에서 재차 솟은 다음 북서진을 거듭하여 와우산에서 정기를 응집했습니다. 와우산에서 응집된 정기를 품은 용맥은 서서히 속도를 줄이다가 신길1구역에 다다라 용트림을 크게 하면서 최종 안주를 하므로 신길1구역은 생기가 충만한 곳이 됐습니다.

따라서 신길1구역을 이룬 지형은 칠현산이 태조산이고, 광교산이 중조산이며, 관악산이 소조산, 와우산이 주산(뒷산)이 됩니다. 또한 신길동은 한강의 지류인 샛강에 접해 있고, 신길1구역 역시 샛강에 가까이 있는데, 샛강이 신길1구역 터의 전진을 멈추게 해 지기(地氣·땅의 정기)가 누설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터를 ‘형상이 그치면 만물을 탄생하는 곳이니 길지이다’라고 하며, ‘형지기축화생 만물위상지야(形止氣蓄化生 萬物爲上地也)’로 표현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신길1구역은 조종산(祖宗山·주산 위에 있는 주산)의 정기가 힘차게 내려와 뭉쳐진 근본이 있는 터입니다.
신길1구역의 위치적 특성

신길동(新吉洞)은 ‘새터마을’, 즉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기도 하고, 새로 좋은 일이 많이 생기는 마을이라는 의미도 담겨있습니다. 신길1구역은 위치적으로 볼 때, 신길동에서 중심이 되는 곳에 있습니다. 교통 환경을 보면 신길1구역은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5호선 신길역이 가까이 있으며, 1호선·신림선 대방역이 멀지 않은 곳에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쉬우므로 생활의 편리성이 높아지게 되어 효율적인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신길1구역은 주변에 영신초, 우신초, 도림초, 신길중, 영원중, 장훈고, 영등포여고 등 교육 시설이 밀집해 있어 교육 환경이 좋은 주거지역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인기를 끌게 될 것입니다. 자연과 공존하는 주거지는 현대인들의 로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신길1구역은 영등포공원, 대방공원, 여의도샛강생태공원과 인접해 있습니다. 신림1구역 주변의 숲을 이룬 공원들은 신림1구역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고,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를 감소시켜 주민들의 심적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뿐만 아니라 긴장된 정신과 육체를 풀어주고 수면의 질을 높여 삶의 행복감을 증가시킬 것입니다.
신길1구역의 풍수적 해석 및 비보방안
신길1구역은 태조산인 칠현산에서 주산인 와우산으로 이어진 용맥이 자리 잡은 곳으로 근본을 갖춘 곳입니다. 이를 ‘산유조길래(山有祖吉來·산이 근본을 갖추면 길함이 온다)’라 합니다. 신길1구역은 터의 형상이 매우 반듯한 편에 속합니다.

터의 형상이 들쑥날쑥하고 모서리가 많으면 살기(殺氣)가 솟아 굴곡진 삶을 살게 되고, 터의 형상이 반듯하면 땅의 정기를 받을 수 있으므로 복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또한 신길1구역의 ‘신길(新吉)’은 ‘새롭고 좋은 일이 많이 생겨난다’는 의미가 담겨있고, 1은 ‘선두’ 혹은 ‘제일’이라는 뜻이므로 신길1구역은 신길재개발구역 가운데서 제일 운수가 트이는 복지(福地)가 될 것입니다. 신길1구역의 주산인 와우산은 산세가 넉넉하고 유순하며, 물형(物形)으로 표현하면 와우형(臥牛形)으로 ‘누워있는 소의 형상’이라는 뜻입니다.

즉 들판이나 외양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소를 보면 조용하고 편안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과 같이 신길1구역의 주민들은 와우산의 안온한 기운을 받아 양순하고 근면한 사람이 되어 부지런히 노력하여 부귀를 얻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주산이 와우(臥牛) 형국이면 좋은 기운을 온전히 받기 위해 구역 내에 ‘구유 조형물’을 설치해야 소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고 머물게 됩니다. 구유는 사찰 등지에서도 비보(裨補·부족한 것을 채움) 차원에서 많이 둡니다.

신길동의 터 형상은 ‘안면형(顔面形·눈, 코, 입이 있는 머리의 앞면)’이며, 신길1구역은 생기가 흐르는 눈 부위에 해당합니다. 안면에서 가장 중요한 곳은 ‘눈’이며 눈이 총기가 있어야 고상하고 준수한 인물이 배출되어 부(富)와 귀(貴)를 얻게 될 것입니다.
더구나 신길1구역은 신길재개발구역에서 미래가치가 가장 높고, 모든 방면에서 선두에 서게 됨을 의미하는 숫자인 1을 가진 구역입니다. 1은 오행으로 수(水)를 뜻하며, 수생목(水生木)이 되어 물은 나무를 성장시킵니다. 따라서 구역 내에 편백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등을 심어 담장으로 대체하거나 일정한 공간을 확보해 쉼터로 하면 주민들의 신체적·정신적 피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입니다.

풍수에서 물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지형과 지질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물이며, 지기를 응집하는 우선적인 조건이 득수(得水)이기 때문입니다. 신길1구역은 산세에 비해 물이 부족한 편이므로 구역 내에 연못을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연못은 화재를 예방하는 비보물(裨補物)도 됩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의 ‘택리지’에 의하면 “지리를 논할 때는 먼저 수구(水口)를 봐야 하는데, 좋은 집터는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 그 안은 넓어야 한다”라고 하여 수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신길1구역은 ‘도신로’로 나가는 길이 생기가 빠져나가는 수구인데, 신길1구역의 면적에 비해 닫힌 듯이 좁아 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항상 구역 내에 생생하고 힘찬 기운이 가득해 뛰어난 주거지역이 될 것입니다.
풍수지리학자의 한 마디
“산세와 지세가 어우러져 복이 모이고 운이 트이는 명당 (明堂)”
신길1구역은 영등포구 신길동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영등포구는 기러기가 날개를 편 채 모래벌판으로 하강하는 ‘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의 터이며, 신길1구역은 ‘기러기의 심장’에 해당하는 터입니다. 따라서 신길1구역은 산세(산 형상) 좋고, 지세(땅 형상) 또한 좋은 생기로운 곳이므로 해가 더해질수록 집터의 운이 틔고 복이 들어오는 기운인 지덕(地德)을 입어 명품 아파트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