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집 검색결과(13)
-
[용어정리ZIP] 대규모 개발이 어려운 사업지의 소규모 재건축 · 소규모 재개발
2022/09/07사업지 면적과 특징에 따라 다르게 추진되는 소규모 재건축ㆍ재개발
일반적인 재건축ㆍ재개발 사업과는 어떻게 다른 지, 그 개념과 장단점을 살펴보고 어떠한 소규모 정비사업 유형이 우리 동네, 우리 집에 적합한지
함께 알아봅시다. -
[용어정리ZIP] 재건축 여부를 판단! ‘재건축 안전진단’이 뭘까?
2022/04/22재건축을 고려하고 있다면 꼭 필요한 안전진단. 재건축 안전진단은 무엇이며, 어떤 평가 기준에 의해 재건축 여부가 결정되는지 알아봅시다.
-
[용어정리ZIP] 서울시가 지원하는 ‘신속통합기획’은 무엇일까?
2022/02/21공공정비사업과 비슷해 참여가 미미한 듯 하였으나 빠른 속도가 이점으로 떠오르며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의 관심을 받는 신속통합기획. 서울시가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지원하는 ‘신속통합기획’에 대해 알아봅시다.
-
[용어정리ZIP] 리모델링 vs. 재건축 무엇이 다를까?
2021/12/17최근 정비사업 규제 강화로 재건축의 대안으로 떠오른 ‘리모델링’. 사업 추진이 가능한 준공 연한 및 안전진단 기준 등 리모델링은 재건축과 견주어 완화된 기준이 적용됩니다. 리모델링과 재건축은 무엇이 다를까요?
-
[용어정리ZIP] 건폐율, 높으면 좋은 건가요?
2021/10/19용적률과 함께 도시정비사업의 필수 용어인 건페율! 건폐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우리 사업지에 어떻게 작용할까요? 건폐율은 높을수록 좋을까요?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용어정리ZIP] ‘조합원의 자격’ 모두에게 주어질까?
2021/09/01도시정비사업을 이끄는 ‘조합원’.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구역에서 토지와 부동산을 가졌다면 모두가 조합원 자격을 가질 수 있을까요? 조합원 자격 취득 여부는 어떤 기준에 의해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용어정리ZIP] 용적률, 얼마나 알고 있나요?
2021/07/15도시정비사업 진행 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 ‘용적률’. 재건축∙재개발 시, 용적률은 우리 사업지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도시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라면 꼭! 알아야하는 단어 용적률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용어정리ZIP] 조합방식vs.신탁방식, 우리 사업장에는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2021/05/20가장 일반적인 조합방식과 새롭게 도입된 신탁방식은 무엇이 다를까요? 재건축·재개발을 앞둔 토지등소유자라면 택일해야 하는 각 도시정비 사업 방식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짚어보겠습니다.
-
[용어정리ZIP] 재건축, 재개발 사업비용 어떤 것이 해당될까?
2021/04/14재건축∙재개발이 시작되면, 조합은 총 사업비를 추산하게 됩니다.
재건축, 재개발 사업비에는 어떤 비용들이 포함되는지 용어정리ZIP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
[용어정리ZIP] 원조합원? 승계조합원? 나는 어디에 속할까?
2021/01/28‘원조합원’ 이신가요? ‘승계조합원’ 이신가요? 사업단계와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조합원 지위의 구분 기준과 이유를 알아보고, 취득세∙양도세 등 세금 부과 기준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용어정리ZIP] 사업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비례율
2020/12/03재개발 사업은 조합원마다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위치, 모양, 용도, 노후도 등 형태가 각기 달라 일정한 기준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개발이익을 종전자산의 평가 결과에 따라 배분하게 됩니다. 그래서 재개발 사업에서는 ‘개발이익율’이라고도 하는 이 ‘비례율’이 사업의 수익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비례율’이 늘어나면 조합원들의 권리가액*이 늘어나고 분담금이 줄어들어 조합원에게 유리하기 때문입니다.(*권리가액 = 종전자산 평가액 x 비례율) 재개발 […]